반응형

원리편 25

사주의 혁명! 중운(체운)의 발견

중운은 무엇인가요? 어떻게 찾는지요? https://youtu.be/R4X8qC9QXgs 중운은 [황제내경]을 공부하다가 발견한 역사주에서의 관법 요소입니다. 좀 더 일상에서 적용되는 현실적인 운기를 추적하다보니까, 어린아이들이 뛰고, 젊은이들이 심장이 발달하고, 30대 폐가 발달하며, 40대, 50대, 60대에 연령별로 각각 작용하는 운기적 특징이 별도로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체계화하고 정리한 것이 중운 또는 체운이라는 개념입니다. 인류의 보편적인 신체적 특징들이 바로 중운의 변화에 따른 결과이며, 비단 신체뿐만 아니라, 모든 운에 적용되어 영향을 끼칩니다. 실제 중운을 사용함으로써, 연령별 신체적 발달사항이나 특징으로 질병과 운기의 변화가 실제에 적용하기 쉬워지고 정확해 졌습니다. 따라서 통변을 하는..

원리편 2021.08.31

사주 분석이란?

사주를 분석한다는 것은 기본적인 사주 관법을 이용하면 이렇게 해석됩니다. 겁재가 많고 비견이 있고, 정재가 있네요. 겁재로 인해서 남을 잘 이해하고, 안정적인 것을 추구하여 남 밑에서 일하는 사주가 됩니다. 이것을 해석하려면 기본적으로 "격"을 알면 됩니다. 여기에 본원이동론을 집어넣으면 사주에 변화가 생깁니다. 본원이동론이란, 십성의 관점이 바뀌게 되므로, 인생을 4단계로 나눠서 각각 다른 삶의 지표가 생기게 됩니다. 어릴적에는 비견겁재가 젊어서는 관을 쓰는 사주로 바뀌는 것이죠. 일간론에만 얽매여 있다면, 어린시절과 청년시절의 해석에 오차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이제 여기에 대운을 넣어서 계산합니다. 중급 과정입니다. 많은 분들이 여기 단계까지 와계셨으리라 생각됩니다. 좀 더 다양해지지만, 여전히..

원리편 2021.08.31

지운

지운 대공개!!!! 많은 명리학자들이 명리학을 글로벌화하기 위해서 다른 나라들을 명리적으로 정의한 바 있습니다. 중국이 중원이기 때문에 무토의 나라라고 해석한 사례들이 있습니다. 중국에서 만들어진 명리학이고, 중국의 황제가 노란색의 옷을 입는다는 증거자료를 내세우기도 했습니다. 목 - 한국(갑목), 일본(을목) 화 - 스페인, 포르투갈, 남미국가, 아프리카 등 토 - 중국, 인도, 터키, 중동계열 등 금 - 프랑스, 독일, 스위스, 서부유럽국가, 미국, 캐나다 등 수 - 러시아, 영국, 네덜란드, 벨기에, 덴마크 북유럽국가 등 물론, 다른 해석들도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밟아도 밟아도 일어나니 을목의 나라라고 평가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보통 이런 연구들의 근거를 보면, 해당 나라들이 설립된 시점이라던가,..

원리편 2021.08.31

여러주기와 사주명리

운명을 살펴보는 명리에서 사주는 년월일시로 그 형성의 시간을 중요한 인자로 보고 해석을 하고 있습니다. 왜 형성의 시간이 중요한데, 사람이 형성되는 수정의 시간이 아니라, 태어나는 시간을 잡고 이야기 할까요? 여기에 사주의 키포인트가 숨겨 있습니다. 외부의 운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아무것도 안해도 지구가 자전과 공전을 하면서 저절로 시간의 변화, 에너지의 변화, 운의 변화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시간은 언제나 저절로 돌고 있습니다. 그런데 특정한 시점에서 아이가 태어나고, 그 아이는 그 태어난 시점의 사주로 평생을 점쳐지고 계산되어지게 됩니다. 예전의 명리학자들은 아이가 태어나서 탯줄을 떼고, 첫 호흡을 하는 순간 우주의 기가 태어나는 순간 똭하고 박히게 된다고 설명합니다. 19세기라면 ..

원리편 2021.08.31

신강과 신약 100% 완벽 판단법

신강과 신약은 사주명리를 공부하는 사람들을 머리 아프게 만드는 찾기 어렵지만 반드시 찾고 싶은 원리입니다. 신강과 신약은 무엇인가요? 본원은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오행을 말하는데, 이 오행이 자신의 오행적 성질을 유지하고 있으면, 신강, 자신의 오행적 성질을 유지하지 못하면 신약이라고 합니다. 가령, O병OO 진신유자 위와 같은 사주가 있다면, 병화는 신약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병화라는 본원의 뿌리가 없기 때문입니다. 대신 아래와 같은 사주는 신강하다고 볼 수 있어요. O병OO 술오사자 지장간 속에 사화, 오화가 있으므로, 병화는 지지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고 해서 통근이라고도 부르고, 지장간의 병화가 천간에 나타났으니 투간되었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이 경우에 병화는 대체적으로 신강하다고 보는 ..

원리편 2021.08.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