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주원리 5

사주는 어디에 저장이나 기록되어 있을까?

사주명리를 공부하다보면, 대체 태어난 시간을 몸의 어디가 기록 저장하고 있는건지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어느 곳에서도 사주가 기록, 저장된 곳을 알려주는 고전은 없습니다. 다만, 어디를 기점으로 삼으라는 식의 이용법은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사주를 어느 시점에서 적용시켜야 하느냐하는 지침입니다. 이런 적용의 시점을 미루어서 사주가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추측해 볼 수 있겠습니다. 사주의 해석기법에서는 탯줄을 자르는 시점을 모체와 독립된 호흡을 시작하는 기점으로 삼아 사주가 결정된다고 이야기 합니다. 그래서 병원에서도 탯줄을 자르고 첫 자가 호흡을 하는 시점을 태어난 시점으로 기록합니다. 얼핏 보면, 타당하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만, 한편으로는 근거가 빈약한 점도 있어 보입니다. 예전에는 탯줄을 ..

카테고리 없음 2025.02.14

오행의 특성이 나타나는 원리

https://youtu.be/fWG0fnAjsw8 운은 10간을 말하고, 기는 12지지를 말합니다. 그래서, 둘이 합쳐진 운기는 60갑자로 표현됩니다. 운과 다른 운의 관계는 십성으로 표현할 수 있고, 이런 운과 운의 관계에 의해서 인간의 정신이나 욕구가 탄생됩니다. 이 세상에서 가장 많은 운은 토운으로 별도로 충을 당하지 않기 때문에 그 존재가 영원불멸에 가깝습니다. 이런 토를 대하는 다른 오행의 관계로 인해서 오행의 특징이 나타나게 됩니다. 목은 토를 재성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목은 시작능력이 좋고, 몰입도가 좋으며, 직진하려는 경향이 보입니다. 화는 토를 식상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표현능력이 다른 오행보다 뛰어나게 됩니다. 토는 토를 비견으로 보고 있으므로, 에너지가 많아져서 본..

원리편 2021.11.09
반응형